메뉴 건너뛰기

Sub Teacher

교육 뉴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조희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 인터뷰
‘2028 대입 개편 시안’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와 안 맞아
법·제도 만으로 교권 문제 못풀어···공존의 가치 안착해야

조희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서울시교육감). 이호재기자
[서울경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내신 절대평가. 조희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서울시교육감)이 생각하는 입시의 방향이다. 수능은 끝났지만, 성적에 따라 줄세우는 현행 상대평가 체제가 유지되는 한 수험생과 학생들이 느끼는 부담을 결코 줄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특히 최근 발표된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 역시 기존의 틀을 깨지 못한 만큼, 조 회장은 입시 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조 회장은 “2028 대입은 고교학점제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처음 치르는 입시인 만큼, 새로운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정책이어야 할 것”이라며 운을 뗐다.

그러면서 선택과목 폐지, 내신 상대·절대평가 병기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은 자신의 진로적성에 따른 과목을 선택하고 성취도평가(절대평가)를 기반으로 학점을 취득하는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와 맞지 않다고 봤다. 수능, 내신 모두 상대평가 체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조 회장은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는 지금의 수능은 선행학습을 위한 사교육비 증가, 대입 위주의 파행적인 교육과정 운영 등 여러 사회문제를 낳고 있다”며 “수능을 절대평가해 등급만 제공한다면 이러한 과도한 경쟁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내신 역시 절대평가로 일원화 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2022 개정교육과정은 사회의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고, 토의・토론 방식의 수업 등을 통해 학생의 다양성을 평가하는 것을 권장한다”며 “상대평가 방식의 내신평가에서는 변별을 위한 지필 위주의 기존의 평가 방식을 선호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내신에서 상대평가와 절대평가가 병기될 때는 절대평가는 무력화되고 상대평가 방식만이 살아남게 돼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 취지를 크게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심화 수학 신설안에 대해서도 수험생의 학습량을 늘리고, 현재 입시 교육 경쟁을 더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미래를 살아갈 젊은 세대가 더이상 문제풀이식 교육, 성적에 따라 줄세우는 입시 교육의 틀에 묶이지 않도록 수능과 내신의 절대평가로의 전환돼야 하고 수능 시기 조정 및 수시와 정시의 통합 운영을 통해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정상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수능, 내신 절대평가 전환 시 변별력 강화를 위한 본고사 부활 등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조 회장은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튀어나오는 두더지 게임 같은 면이 있다. 고교 교육 정상화와 변별력 확보 두 가치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 대학 서열화를 완화하는 대학 입시제도, 대안적인 입시 제도를 통한 대학 서열 완화를 위해 조금 더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최근 교원단체에서 실시한 ‘교권4법 개정, 학생생활지도 고시 시행 이후 교권 실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교권 추락 문제는 법과 제도 개선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교권4법 통과와 학생생활지도 고시 시행 이후 학교 변화가 있느냐’는 문항에 55.3%가 ‘변화가 없다’고 응답했다”며 “이는 법과 제도, 정치와 행정만으로 교육환경이 개선되고 교권이 보장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공존의 가치가 학교 현장에 안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교육감이기도 한 조 회장은 2년 남짓 남은 임기 동안 굥교육 질 향상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지난 8년은 학교 수업·공간·행정·문화 혁신 등 공교육 정상화의 과정이었다. 앞으로는 개별 학생 맞춤형 교육을 통해 공교육의 질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런인간이 3선이라니

 

서울 시민도 원망스럽고

3선때 단일화 안한 두 후보도 원망스럽고

빡치네요

 

 

  • pro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1.20 21:53
    와.....................할말이없다, 저희 학교 전교조 쌤도 수능을 자격고사화하라고, 프사에 해놨던데,,,저쪽에서 미는 사항같네요

    진짜 이놈들을 뽑는 인간들도 문제고 ㅠㅠ총체적난국입니다.
  • ?
    등짝스매시 2023.11.21 01:44
    아직 임기가 2년더남았다네요ㅠㅠ 이제 투표잘해야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학부모 법정 구속 됐네요 2 file 날카로운면직각 2023.11.23 30
44 저희가 복종의 의무도 있었지요ㅠㅠ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1.24 18
43 인생을 망가뜨려 주겠다는 변호사 file 달려라코코 2023.11.24 23
42 하다하다 이런 민원까지 file 날카로운면직각 2023.11.25 21
41 희망 직업 1위 교사?????어??? 1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1.26 27
40 로보트 투입 ㅋㅋㅋ 4 file 달려라코코 2023.11.29 56
39 “교사와 말다툼하는 장면 찍힌 여고생, 현재 연예인 연습생” 6 톰과제리 2023.11.30 87
38 전교조 서울지부, '학생인권조례 폐지'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2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2.01 47
37 교사가 맡던 학폭 조사업무, 전직 수사관 2000명 투입안 유력 1 톰과제리 2023.12.01 30
36 '수업 검열' 비판 많았던 수업공개 의무화 안 한다 2 톰과제리 2023.12.01 49
35 언제까지 '교사 사명감' 타령만…위기학생 홀로 감당에 지쳐 2 톰과제리 2023.12.01 46
34 ‘유초중등 교육예산 줄여 디지털 교육에’ 특별교부금 비율 상향에 교육계 반발 2 톰과제리 2023.12.02 54
33 초1 딱밤 때린 교사 아동학대 재판 결과 - 무죄 1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2.04 37
32 부산교육청, 유치원·어린이집 원장 대상 첫 유보통합 설명회 1 톰과제리 2023.12.07 33
31 교육부, 부총리-현장교사 정례소통 학생·학부모로 확대 2 톰과제리 2023.12.07 30
30 죽은 자는 말이 없죠 1 file 테슬라사고싶다 2023.12.11 28
29 수업중 목 졸린 교사에 변호사비 절반만 지원…교원단체 반발 1 톰과제리 2023.12.13 51
28 아파트 창밖으로 치킨 던진 초등학생…행인 전치 2주 1 톰과제리 2023.12.14 35
27 수당 올려주는거 확정인가봅니다 3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2.17 44
26 상담 하러온 20대 여성 성폭행 시도 초등교사 직위해제 불멸의용병 2023.12.20 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