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Teacher

학급 경영

조회 수 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내가 만만이 교사인지 체크리스트

□ 왜요? 데요?체를 자주 듣는다.

□ 종이 쳐도 앉을 생각을 안한다.

□ 소리를 지르는 빈도가 높다.

□ 수업 덜 끝났는데 종치면 “쌤 종쳤는데요.”라는 말을 듣는다.

.

.

네 전부 제 얘기였습니다.

타고나길 기가 약한 쭈굴이인 제가 고학년 반항아 에이스들을 맡으며 모두 제 편으로 만든 방법들입니다.

.

아이들과 마찰이 잦아 힘든 선생님들께 ‘이런 방법도 있어요’하고 소개하는 글입니다.

.

.

  1. 그 아이는 왜 나한테만 그러는걸까

.

만만이 교사라면 한번쯤 들어본 말..

.

“김OO? 작년에 말 엄청 잘 들었는데?”

“김OO? 걔 예의 바른 앤데 갑자기 왜 그러지?”

아니 사실 매년 듣는 말..

“6학년 되더니 사춘기 왔나봐~”라고 날 다독여주는 작년 담임선생님.

하지만 전 보았죠. 카리스마 선생님 밑에선 순한 양이 되는 것을..

.

.

예시 상황을 보겠습니다.

.

교실에 교사가 뻔히 앉아있는데 친구들과 대화하며 다 들리게 거친 말을 하는 아이가 있습니다.

.

(1) 잘못된 예시

“아 닥쳐~! 개짜증나 진짜 XX, 킥킥킥”

.

“김OO! 나와!”

대부분의 상황이 그렇지만 특히 욕설 목격 상황은 호통치며 부르면 안 됩니다.

잘못 들었을 수도 있고, 안 했다고 우길 수도 있습니다.

.

 

“저요?”

.

“그럼 너지! 빨리 안나와?”

.

“(나와서) 왜요?” 이미 상하관계가 무너진 태도입니다.

.

“너 방금 저기서 뭐라고 했어?” 태도를 꼬집어야 하는데 문제상황에만 집착하고 있습니다.

.

“아무 말도 안했는데요?” 태도를 꼬집지 않으니 이 정도 말투는 괜찮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

“뭐? 선생님이 똑똑히 들었는데?”

.

“...? 뭘요?”

.

“너 XX, XX, XX 라고 했잖아!”

.

“안했는데요?”

.

“얘들아! 김OO 욕한거 들은 사람?

.

”봐봐! 애들도 들었다잖아!”

.

“안했다니까요?!”

.

이제 남는 것 없는 말싸움으로 갈 뿐입니다.

말싸움이 길어질수록 상하관계는 희미해지고 아이에게는 반항했다는 성취만 남게 됩니다.

끝까지 가서 만에 하나 인정하게 하더라도 아이 내면엔 더 큰 반항감만 쌓이게 됩니다.

나중에 더 큰 반항으로 돌아오므로 만만이 선생님께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

(2) 쎈척 예시

학생 : 아 닥쳐~! 개짜증나 진짜 XX, 킥킥킥

.

교사 : (무표정으로 건조하게. 목소리는 조금 크게) OO아~ 나와봐.

.

학생 : 저요?

.

(답할 가치 없는 말은 무시. 애들이 ‘너 맞아..’라고 하기 때문에 알아서 나옵니다.)

.

(계속 무표정으로 컴퓨터 업무 보는 척합니다. 난 너무 쎄서 니가 한 일에 크게 관심 없다는 느낌입니다.

별로 화 안 났으니까 빨리 인정하고 끝내자는 느낌도 줍니다. 화면은 있어보이는 에듀파인 창이 좋습니다.)

.

학생 : (나와서) 왜요? 상하관계에 도전하는 태도입니다. 명확히 불쾌함을 드러내며 꼬집어야합니다.

.

(박정민식 미간 주름을 잡고, 인상을 쓴 채 아이 쪽을 봅니다.)

교사 : 뭐?

살살 기어올랐는데 그 태도를 꼬집히면 아이는 조금 움찔합니다.

.

학생 : ..왜요?

.

교사 : 하.... (한숨 쉬며 눈 짚) 화를 참는 척 눈곱을 떼며 시간을 조금 끕니다.

이 시간 동안 아이는 오만 생각이 들며 괜히 까불었나 생각합니다.

.

박정민식 미간 주름을 유지한 채 말합니다.

교사 : 왜요? 말투 예의 있게 다시 말해.

.

학생 : 네?

.

교사 : 예의 있게 다시 말하라고.

.

학생 : (우물쭈물) 욕한거 변명할 생각으로 왔다가 갑자기 태도에서 꼬집히니 당황스럽습니다.

.

교사 : 어떻게 말해야 되는지 알려줘?

.

학생 : (우물쭈물)

.

교사 : 주머니 손 빼라

.

학생 : (주섬주섬)

.

 

교사 : 선생님이 부르면, 왜요가 아니라 네 선생님이라고 하는거야.

(아이한테 말하듯 높낮이 과장하며 말하지 말고 바람 핀 애인을 대하듯 차갑고 싸늘하게 말합니다.)

.

학생 : 네

.

교사 : 해봐.

.

학생 : 네 선생님.

.

교사 : (박정민식 무표정으로 바꿉니다.) 그래 역시 멋있어. 멋진 OO가 갑자기 예의 없게 말을 해서 선생님이 너무 놀랐잖아. 그런 애가 절대 아닌 걸 아는데.

(무례함을 당해버린 내가 피해자다 느낌으로 가줍니다.)

.

학생 : ...

(상황종료입니다. 아래는 쎈척 이후 마음 어루만지기 단계입니다.)

(상하관계가 정립되었으므로 다정말투로 바꿉니다.

하지만 표정을 풀면 금세 실실거리고 기어오를 수 있으므로 박정민식 무표정을 유지합니다.)

교사 : 선생님은 절대 OO이를 혼내려고 부른 게 아니야. 알지?

.

학생 : 네..

.

교사 : (무표정 다정말투) 방금 OO이가 욕을 한 것 같아서 불렀어. 혹시 욕했어?

.

학생 : 네 한 것 같아요..

.

교사 : (무표정 다정말투) 음. 인정하는 모습이 너무 멋지다. 역시 OO이야. 욕하면 안 되는 거 알잖아 그렇지?

.

학생 : 네

.

교사 : 실수한 거니까 괜찮아. 선생님은 계속 용서해줄거야. 이렇게 멋있게 인정만 하면 돼. 알겠지?

.

학생 : 네

.

교사 : 그래 들어가. (ㅎㅎ쎈척 성공)

.

(보통 여기서 상황이 종료되지만, 학생이 거짓말을 하는 상황까지 추가해보겠습니다.)

.

교사 : (다정모드) 방금 OO이가 욕을 한 것 같아서 불렀어. 혹시 욕했어?

.

학생 : 아니요?

.

교사 : 선생님이 잘못 들은 거야?

.

학생 : 네

.

교사 : 그럼 뭐라고 했는지 기억나?

.

학생 : 잘 기억이 안 나는데 욕은 안 했어요.

.

(“하.. 왜 인정을 안하지..?”로 맞받아치면 말싸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져주는 척 마무리합니다.)

.

교사 : 그러면 선생님이 잘못 들었나 보다. 그럼그럼.. OO이가 욕을 했을 리가 없지. 선생님이 너무 좋아하는 OO인데. 욕하면 안 되는 거 알잖아?그치?

.

학생 : 네

.

교사 : 그래 그럼 됐어. 들어가.

.

.

아이가 욕한 걸 인정시키진 못했지만 그래도 말싸움을 피하고 상하관계를 명확히 했으니 최악은 면했습니다.

.

아이는 본능적이기 때문에 자기보다 약해 보이는 사람한테 잘못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

상하관계가 명확해야 앞으로 문제상황을 마주했을 때 올바른 훈육 그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학생은 욕한 것을 인정하고 교사가 괜찮다며 같이 노력하자고 기를 살려주는 올바른 그림...

.

.

일 년은 깁니다. 쎈척은 길게 봐야 합니다. 가끔은 이렇게 뼈를 내어줄 때도 있습니다. 나중에 갈비를 취하면 되니까요.

.

.

(자기들끼리 깔깔거리며 욕설한 상황에서는 애들 앞에서 기를 살려줘도 되지만, 욕설 피해자가 있는 경우에는 따로 둘만 있는 상황에서 기를 살려줘야 합니다. 피해자가 듣고 어이없을 수도 있거든요.)

(욕은 내가 먹었는데 용서를 왜 쌤이 하지...?)

.

.

쎈척 없이도 아이가 예의 바르게 말하는 노련한 교사가 되길 꿈꾸며.. 3장 마칩니다...

혹시 도움이 되시는 분이 계시다면 다음에 또 4탄 쓰러 오겠습니다.

.

PS) 도움 되신다는 댓글, 공감되신다는 댓글, 재미있다는 댓글 등 모든 댓글 하나하나 백번씩 읽으며 감동 받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

  1. 내가 생각하는 학급경영

    Date2023.11.13 Byㅈㄱ초교무ㅆㄹㄱ Views35
    Read More
  2. 만만이 교사의 쎈척하는 법 (1) - ㅇㄷ

    Date2024.03.06 By흐린눈 Views28
    Read More
  3. 만만이 교사의 쎈척하는 법 (2) - ㅇㄷ

    Date2024.03.06 By흐린눈 Views22
    Read More
  4. 만만이 교사의 쎈척하는 법 (3) - ㅇㄷ펌

    Date2024.03.07 By흐린눈 Views31
    Read More
  5. 금쪽이의 관리에 관리자를 추가하여 서면으로 남겨 놓는 방법

    Date2024.07.23 By흐린눈 Views27
    Read More
  6. 학급경영 만능키트

    Date2025.02.11 By흐린눈 Views509
    Read More
  7. 줄넘기 기록표[자기주도적인 줄넘기 횟수 기록표]

    Date2025.03.11 By아무거나먹지마세요 Views16
    Read More
  8. 학부모 상담 시 각종 정신과적 장애 검진 권고를 위한 체크리스트

    Date2025.04.24 By흐린눈 Views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