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지난 번보다 점대칭도형을 좀더 잘 이해하도록 설명해준 것 같아 꽤나 뿌듯해서 올립니다.
-
선대칭도형의 뜻과 요소, 성질을 복습하면서 학습지를 정리합니다. 저는 칠판 반을 써가며 정리하구요.
-
점대칭 도형을 뜻만 읽고 회전체와 도형의 대칭 앱으로 선대칭도형과 점대칭 도형의 차이를 확실하게 인지시키고 갑니다.
튼튼한영어 선생님 감사합니다.
https://indischool.com/boards/libMath/37201482?search_target=all&category=242127&local_query=%EC%95%B1
다만 사용하게 할 때 꼭지점을 5개 이하로 하게 하시고
대칭축에 해당하는 가운데 선을 중심으로 반만 그렸을 때 선대칭 도형과 점대칭 도형의 차이를 느끼게 만드는게 포인트입니다.
직각삼각형을 그렸을 때 정삼각형이 나오냐, 평행사변형이 나오냐, 또는 아예 다른 도형이 나오냐를 걸 보니 점대칭도형이 다르다는 걸 좀더 직관적으로 이해했어요.
-
그리고 점대칭도형의 성질을 들어가는데 선대칭도형을 복습하면서 활용했던 내용에 뭐만 달라지는지 유추하라고 하면서 발표 시키며 정리합니다. 뜻, 요소, 성질(대응변의 길이가 같다/대응각의 크기가 같다)까지는 금방 나옵니다.
-
결국은 대응점으로 이은 선분과 대칭축/대칭의중심 사이의 관계가 핵심입니다. 일단 글이 길어지면서 애들이 정줄을 놓는게 문제죠(...)
요소가 3가지이니 성질도 대응변/대응각/대응점으로 3가지가 나와야 하는데, 대응점은 그 자체로 성질을 설명하기 어려우니 보조선을 그어 성질을 설명하는데 그게 수선이라고 말해주며 길이가 같다느니 반으로 나눈다느니 하는 소리를 합니다. -
다음 문제는 점대칭 도형 그림 그리는 법이 문제인데, 선대칭도형은 가로 세로 칸만 잘 세면 잘 하는데 점대칭도형은 가로 세로 칸을 세는 방법을 잘 모르는게 문제입니다.
대응점과 대칭의 중심을 잇는 선을 쭉 긋고, 대칭의 중심까지 삼각형을 만들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삼각형의 밑변, 높이 칸 수를 세는게 핵심입니다. 이것만 이해하면 뒤에서 1, 2, 3등 하는 아이들도 점대칭도형 그리게 되더라구요.
훌륭하신 선생님들께선 이미 하시고 있으시겠으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