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Teacher

교육 뉴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전남 목포시 원도심에 위치한 A 초등학교. 교사 B씨는 학교에 결손가정에 살다 보니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생활습관과 기초학력이 미진한 학생들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그 중에서 '이음이'(가명)은 가장 까다로운 학생으로 꼽았다.

B 교사는 4학년 담임 첫날 다른 교사에게 경고를 들었다.

"아이 행동에 문제가 있다는 건 알겠는데 특정해서 말하기 어렵다. 겪어 보면 알게 된다."

B씨는 곧 이음이가 복잡하고 어려운 행동을 보였다고 했다.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고, 친구에게 말을 걸거나 시끄러운 소리를 내 수업을 방해했다. 마음대로 교실을 돌아다녔고, 5분도 되지 않아 상담실과 보건실, 화장실 가기를 반복했다. 읽고, 쓰고, 셈하기는 4학년임에도 1학년 수준에도 못 미쳤었다고 B씨는 전했다.

 

교우관계도 좋지 않았다. 개학 첫날부터 몸싸움을 벌였고 고학년과 싸워 몸에 상처가 나기도 했다. B 교사는 학부모에게 전화를 걸었는데, 아버지는 암 투병 중이었고 어머니는 베트남에서 와 한국어가 서툴렀다.

30일 교육부에 따르면 B 교사가 '이음이'와 같은 복합 위기 학생을 마주하면 현행 제도상 문제 행동 아이를 1차적으로 담당하는 교사가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교사에 사명감을 강제했던 시절은 흘러간 것처럼 보인다. 교사노동조합연맹이 지난 4월 진행한 '교사상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교사는 '학생을 위해 희생하고 봉사하는 성직자'라 답한 응답자는 0.8%에 불과했다.

성에 안 차면 아동학대로 신고하는 학부모, 말을 듣지 않아도 교사의 전문성을 존중하지 않는 문제 학생에 교사들은 지쳐갔다. 지난 7월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이 알려지자 교사들의 분노가 들불처럼 퍼지고 20만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온 이유로 꼽힌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의 조사에서 '교직에 만족한다'는 응답자는 23.6%로 역대 최저치였다.

그렇지만 이음이와 같은 학생을 가장 먼저 찾아낼 수 있는 사람도 결국은 교사라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위기 학생을 가정을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나 관련 기관에서 간접적으로 발굴할 수도 있지만 현행 복지 제도는 신청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어 한계가 명확하다.

결국 교사들이 사명감을 잃지 않도록 지원하는 체계가 보다 두텁게 마련돼야 학교에서 위기 학생들을 발굴할 동력을 지켜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부도 학생의 학업을 방해하는 환경 요인들을 끊지 못하면 '맞춤형 교육', '공교육 혁신'도 달성할 수 없다고 본다.

서울 한 초등학교 교장은 "우리 학교에도 몇 년째 속을 썩이는 문제행동 학생이 있었는데 지난해 담임은 우울증에 걸리고 열흘 간 병가를 냈다"며 "설령 문제 행동을 극복하는 단서를 찾더라도 학교의 힘으로 부족한 경우가 있어 외면하고 지나갔을 것"이라고 했다.

 

[서울=뉴시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올해 5월15일 '스승의 날'을 맞아 조사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직에 만족하고 행복하다는 교사가 5명 중 1명에 그쳤다. 교원단체가 실시하는 이번 설문에서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이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서울=뉴시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올해 5월15일 '스승의 날'을 맞아 조사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직에 만족하고 행복하다는 교사가 5명 중 1명에 그쳤다. 교원단체가 실시하는 이번 설문에서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이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뉴시스

다시 '이음이'의 사례를 살펴보자. 담임 B 교사는 이음이를 계속 관찰하면서 긍정적 모습을 확인했다. 또래들과는 다퉜지만 1~2학년 동생과 특수교육지원을 받는 약한 학생들을 도와주고 재미 있게 놀아주는 모습을 본 것이다. 수업은 방해해도 학급 청소는 열심이었다.

B 교사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부터 했다. 교실에서는 이음이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스스로 찾아서 하도록 했고, 교내 위(Wee) 클래스에서 상담을 받게 했다.

그러던 중 암 투병을 하던 이음이 아버지는 결국 올해 6월 중순 세상을 떠났다. 남겨진 가족들은 생활고에 상실감까지 안게 됐다. 학교에서 장례 비용과 상담 비용, 생활비 지원을 해 주는 데 한계가 있다. 이음이는 B 교사와 상담하는 과정에서 서럽게 울기도 했다고 한다.

만약 여기서 끝났다면 이음이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거나 더 심각해 졌을 수 있다. 다행히 이음이는 지역 사회의 도움을 받아 희망을 찾을 수 있었다.

 

지난 5월 목포교육지원청, 목포시가족센터에서 이음이를 지원하기 위한 회의를 여니 B 교사를 비롯한 이음이 누나, 동생의 담임교사가 참석해 달라고 했다. B 교사가 참석한 회의에는 교육 당국과 가족센터, 복지센터, 청소년기관, 장애인 기관 등 15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 이음이 가족에 대한 모든 정보가 공유됐다. 참석자들은 각자가 지원할 수 있는 내용을 자발적으로 이야기하고 지원 절차를 이야기했다. B 교사는 "이음이의 어려움을 더 잘 알게 됐고, 세심하게 살피고 도와주지 못해서 스스로 부끄러웠다"고 회고했다.

회의 이후 이음이는 방과 후에 정서적 상담과 학습 지원을 받았다. 야간에는 돌봄을 받았고, 가정방문을 통해 생필품을 지원 받았다. 주말에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음식을 받기도 했다. 아버지의 장례 비용도 지원됐고 심리 상담도 이어졌다.

B 교사는 이음이가 올해 9월 초 읽기, 쓰기, 셈하기 간이 시험을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다고 전했다. 가족도 아버지의 부재를 극복하고 안정을 되찾았다 한다. B 교사는 "혼자서는 해 낼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이음이의 이야기는 실화다. 목포교육지원청이 교육부에 제출한 다문화 기초생활수급 가정의 위기 극복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B 교사는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을 이해했다고 전한다.

위기 학생을 돕기 위해 온 마을이 두텁게 지원하는 체계를 누군가의 사명감에만 맡겨야 할까. 이제는 사회 안전망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주호민도 아동학대 빔 맞았네요 ㅋㅋㅋㅋㅋ(류재연 교수님께서 주호민씨 부부를 아동학대혐의로 용인시에 신고했습니다.) 1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4.01.23 86
64 ‘부당특채’ 조희연 2심도 유죄…교육감직 상실형 유지 ㅈㄱ초교무ㅆㄹㄱ 2024.01.18 28
63 주호민 사건 이제 끝난듯 싶네요. 1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4.01.11 57
62 경찰, '서이초 사건 의혹 제기' 현직교사 조사 2 file ㅈㄱ초교무ㅆㄹㄱ 2023.12.30 29
61 尹 '유보통합·늘봄학교 당위성 의문' 전면 재검토 지시 3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2.26 32
60 상담 하러온 20대 여성 성폭행 시도 초등교사 직위해제 불멸의용병 2023.12.20 17
59 수당 올려주는거 확정인가봅니다 3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2.17 39
58 아파트 창밖으로 치킨 던진 초등학생…행인 전치 2주 1 톰과제리 2023.12.14 30
57 수업중 목 졸린 교사에 변호사비 절반만 지원…교원단체 반발 1 톰과제리 2023.12.13 45
56 죽은 자는 말이 없죠 1 file 테슬라사고싶다 2023.12.11 24
55 교육부, 부총리-현장교사 정례소통 학생·학부모로 확대 2 톰과제리 2023.12.07 24
54 부산교육청, 유치원·어린이집 원장 대상 첫 유보통합 설명회 1 톰과제리 2023.12.07 27
53 초1 딱밤 때린 교사 아동학대 재판 결과 - 무죄 1 file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2.04 33
52 ‘유초중등 교육예산 줄여 디지털 교육에’ 특별교부금 비율 상향에 교육계 반발 2 톰과제리 2023.12.02 48
» 언제까지 '교사 사명감' 타령만…위기학생 홀로 감당에 지쳐 2 톰과제리 2023.12.01 42
50 '수업 검열' 비판 많았던 수업공개 의무화 안 한다 2 톰과제리 2023.12.01 45
49 교사가 맡던 학폭 조사업무, 전직 수사관 2000명 투입안 유력 1 톰과제리 2023.12.01 26
48 전교조 서울지부, '학생인권조례 폐지'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2 아무거나먹지마세요 2023.12.01 43
47 “교사와 말다툼하는 장면 찍힌 여고생, 현재 연예인 연습생” 6 톰과제리 2023.11.30 83
46 로보트 투입 ㅋㅋㅋ 4 file 달려라코코 2023.11.29 5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