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가져온 물체에서 원의 지름과 원주를 측정하고 원주율에 대한 수업을 했는데, 학생들이 원주율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 한 친구들이 많았습니다. 원주율에 대해 다시 처음부터 정리하는 시간으로 수업 준비했습니다. 아이들이 원주율에 대해 자주 설명하도록 했습니다.
내용이 많아 60분 정도 소요됐습니다.
제 수업은 주로 네이버블로그 '경선쌤'의 수업을 기본으로 조금 변형해서 수업합니다.
https://blog.naver.com/kingforpoii/220715343609
마지막 수업의 내용을 어떻게 노트 정리할지 먼저 생각하고, 노트에 정리하는대로 칠판에 그대로 나타내려합니다. 노트 정리 시간을 줄이기 위해 도형이나 중요 내용을 라벨지에 프린트해서 붙이는 방법을 자주 사용합니다. 노트에 라벨지 붙이는 부분은 저도 종이에 출력하여 칠판에 붙입니다.
발표와 노트위주로 수업하며, 먼저 내용을 배우고 교과서는 그 후에 아이들 스스로 풉니다.
도입. 원의 구성요소 설명
- 아래 도형 나누어주고, 짝끼리 원의 구성요소 설명하기
- 몇 명 지목하여 앞에서 설명하기
학습문제. 원주를 구해보자.
1. 원주율 찾기
옛날 이집트 사람들은 원의 둘레(원주)를 알고싶어함. 그때는 자 등의 도구가 없었기에 원의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원의 둘레를 쟀음.
- 학생들에게 이때 따라 말하게 함. '기준은 지름이다.'
옛날 사람들처럼 원의 지름으로 원주를 구해보자.
원주에는 지름이 몇 번 들어가나요?
아래 학습지 짝끼리 1번 풀이(측정용 종이를 각각 자르고, 원의 지름에 대어 지름만큼 자른다. 지름만큼의 종이를 원에 대어 본다.)
- 원주에는 지름이 몇 번 들어가나요? 3번하고 조금 더 들어간다.
- 조금 더를 분수로 표현하면 1/?인가요? 1/6, 1/7, 1/10 등
- 왜 모든 친구들이 같지 않나요? 측정의 오류로 인해서
정리. 수학자들이 정확히 측정해보니, "원주에는 지름이 3번하고 약 1/7 들어간다."
1/7을 나누어보면 무한한 수가 나옴. 그래서 둘을 더하면 PPT 원주율 처럼 나옴.
무한한 수이므로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3.14를 많이 씀. 그러나 3.1, 3.141592 등을 쓸 수도 있음.
다시 정리하면, "원주에는 지름이 3.14번 들어간다." 따라 말하도록 함.
오늘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라고 강조. 칠판에 적기
2. 원주율 확인해보기
다른 원의 원주에 지름이 3.14번 들어가는지 확인해보자.
학습지 2번 풀이(자로 지름 재기, 원주 / 지름 계산하기)
학습지 확인
정리. 모든 원은 원주에 지름이 3.14번 들어간다. 이렇게 원주를 만드는 지름의 비율을 원주율이라 하며 3.14이다.
칠판 정리. 따라 말하기
3. 원주율 설명하기
짝끼리 원주율 설명하기
노트에 원주율이 무엇인지 정리하기
4. 교과서 풀이(94~95쪽, 마지막 3번 풀지 않음.)
원 설명.pptx